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김종대

최근작
2022년 1월 <한국 민간신앙의 전승과 그 의미>

대문 위에 걸린 호랑이

동물들은 단순한 본능적 생태만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생태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사람들에 비유되기도 하며, 더 큰 의미를 지닌 존재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것은 동물들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였음을 보여주는 한 편린에 불과하다. 따라서 동물들에 대한 이해의 다양한 모습은 부정적인 동시에 긍정적인 속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뱀의 경우, 일반적으로 징그럽다는 감정적인 태도에 의해서 부정적인 면을 부여하기도 했다. 하지만 뱀이 허물을 벗고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의 의미를 부여하여 부를 가져다 주는 존재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삼국시대에는 까마귀가 태양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오행사상의 영향으로 죽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뱀이나 개구리는 부활과 재생을 상징했다. 겨울이면 사라졌다가 봄이면 나타나는 모습을 보면서 영생하는 동물로 여겼던 것이다. 신화의 시대를 이끌어온 상징의 틀은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서 이해해야 한다. 농경문화 속에서 만들어진 상징의 틀은 수렵문화 속에서 형성된 상징의 세계와는 차이가 있다. 우리 민족의 동물 상징의 세계는 우리 민족이 일구어온 문화적 틀 속에서 이해되야 한다. 왜냐하면 상징은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를 나타내는 빛깔이기 때문이다. 이 땅에 살고 있는 동물에게 우리 민족은 어떤 의미를 부여했으며, 그 상징의 틀은 무엇인지 살피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책을 읽는 동안 독자들은 우리가 몰랐던 동물 상징들을 발견할 수 있고, 우리 민족이 가졌던 동물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사랑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저기 도깨비가 간다

이 글의 진정한 목적은 도깨비를 올바르게 알기 위한 하나의 시도에 불과하다. 도깨비가 나오는 이야기가 무엇이며, 그런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알려준다. 또한 도깨비를 신앙시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을 살펴보면 도깨비가 어떤 존재로 인식되어 왔는지를 알 수도 있다. 아무쪼록 이 책을 통해 도깨비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