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종교/역학

이름:김덕균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64년

최근작
2024년 4월 <한국 효문화의 이해>

김덕균

1964년 경기도 화성에서 출생했다.
1982년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에 입학, 1995년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97년 한국연구재단(당시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으로 중국 산동사회과학원에서 박사후과정(Post-Doc)을 마쳤다. 성균관대, 중앙대, 동덕여대, 한국예술종합학교, 대전대, 협성대에서 강의하다가 중국산동사범대학 외국인교수, 서일대학교 교양과 주임교수, 성산효대학원대학교 효문화학과 교수(교학처장, 연구처장, 효교육문화연구소장), 중국사회과학원 교환교수, 한국양명학회 회장을 지냈고, 현재는 보건복지부와 대전시가 공동 출연한 재)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으로 있으면서 효관련 정책연구와 전국의 유무형 효문화자산조사에 매진하고 있다.

○ 저서: 『통쾌한 동양학』(글항아리), 『명말청초 사회사상』(한국학술정보), 『공문의 사람들』(논형), 『삭혀먹는 나라 비벼먹는 나라』(지혜문학), 『황종희의 명이대방록』(삼성출판사), 근 · 현대사 속 겨레의 효자들』(다른 생각), 『한국 기독교를 빛낸 사람들』(다른 생각), 『옛날 옛적 한밭골 효문화 이야기』, 『효문화로 만나는 북한』(한국효문화진흥원), 『동아시아 효문화 이해』(도서출판 시아북)
○ 공저: 『현대 중국의 모색』(동녘), 『동양사상』(전통문화연구회), 『정보기술사회의 윤리매뉴얼』(서광사), 『동양철학의 자연과 인간』(아세아문화사), 『왕양명철학 연구』(청계), 『전통 청바지 - 옛것은 과연 낡은 것일까?』(웅진지식하우스), 『최고의 고전번역을 찾아서』(생각의 나무), 『효, 사랑실천입니다』(성산서원), 『효와 행복』(성산서원), 『꿈나무 세대를 위한 예절』 · 『인터넷 세대를 위한 예절』 · 『글로벌 세대를 위한 예절』(이상 대한교과서), 『儒家傳統與人權民主思想』(齊魯書社, 중문), 『儒林』(山東大學, 중문), 『한국효문화자료보감 - 대전시 편』 · 『한국효문화자료보감 - 충청남도 편』 · 『한국효문화자료보감 - 강원도 편』 · 『세계 각국의 효문화』 · 『한국의 효문화 뿌리를 찾아서Ⅰ-Ⅴ』(이상 한국효문화진흥원)
○ 역주서: 『명이대방록』(한길사, 제41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번역부문 수상작), 『잠서』 상 · 하(소명, 한국학술진흥재단 명저번역총서), 『역주 고문효경』 · 『그림으로 읽는 동양의 효문화』(이상 문사철)
○ 번역서: 『중국 봉건사회의 정치사상』(동녘)
○ 논문: 양명학, 중국철학, 한국철학, 효문화 관련 연구논문 50여편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한국 효문화의 이해> - 2024년 4월  더보기

경전의 효행은 이성적 사유에 기반한 합리성이 중심이라면, 관행적 효행은 감성 의존의 주관적 효행에 가깝다. 『효경』과 『예기』 등에서는 신체보존을 효의 중요한 요소로 삼았고 그에 따른 합리적 요청이 있지만 일상적 효행 가운데에는 치병과 거상에 따른 신체훼손 사례가 상당수 있었다. 이렇듯 관행 속의 효행은 아무리 순수한 부모공경의 감성적 발로라 하더라도 무절제와 불합리를 수반한 경우가 많았다. 또 이것이 자녀의 일방적 헌신·봉사·희생으로 비춰지면서 효는 부담스런 요소로 작용했다. 거기에는 관행적 효행을 주로 담은 『삼강행실도』의 영향이 컸다. 『삼강행실도』가 조선의 효행 흐름을 바꿔놓은 것이다. 『효경』에는 신체보전을 효라고 말했지만, 막상 관행 속에서는 ‘할고단지’가 효행의 대세를 이뤘다. 신체훼손은 경전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극단적 감정의 선택이고 합리적 판단은 아니었다. 그런데도 군왕은 물론 당대 사상가들이 이에 동조하며 효행 표창 정책을 시행했다. 나아가 효자들을 관리로 임용하면서 개인적 효행을 객관적 제도로 승화시키기도 했다. 효를 권장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었지만, 훗날 제한된 관직에 늘어난 효자 서용제도는 결국 문제를 낳을 수밖에 없었다. 효행은 뛰어났어도 재능이 없을 경우 심각한 문제의 소지가 있었다. 조선 초 “효하면 출세한다.”는 풍토를 만든 것까지는 좋았지만, 또 다른 사회문제를 야기한 것이다. 개인적·주관적·감성적 요인의 효행을 객관적·합리적·이성적 제도와 정책으로 승화시키는 과정 속에서 나온 문제들이라 할 수 있다.

- 책머리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