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인문/사회과학

이름:공일주

최근작
2022년 11월 <무슬림들의 신앙과 실천>

공일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와 대학원을 졸업했고, 카르툼국제아랍어교육대학원에서 외국어로서의 아랍어 교육학 석사 그리고 옴두르만대학교에서 꾸란 연구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요르단대학교 교수와 JETS의 교수, 주안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했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와 통역대학원, 부산외국어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강의했다. 현재는 중동아프리카연구소 소장이다.

저서와 학술 활동으로는 『아랍어 문법』, 『아랍 문화』, 『아랍의 종교』, 『이슬람 율법』, 『꾸란의 이해』, 『이라크의 역사』, 『아브라함의 종교』, 『한국의 무슬림』, 『한국의 이슬람』, 『중동의 기독교와 이슬람』 등 28권의 저서가 있다. 『아랍 문화의 이해』 (대한교과서, 1999), 『이슬람 문명의 이해』 (예영커뮤니케이션, 2006), 『이슬람의 수피즘과 수쿠크』 (CLC, 2011)는 문화체육관광부(문광부) 우수 교양 도서로 추천되었고, 『이슬람과 IS』 (CLC, 2015)는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우수 도서로 선정되었다. 2014년 「아랍과 이슬람 세계」 저널을 창간했고, “꾸란 주석의 형성과 의미 번역”(2019), “아랍어의 의미 연구와 꾸란의 의미 번역”(2021) 등 50여 편의 학술 논문이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꾸란 해석> - 2021년 5월  더보기

꾸란 연구는 이슬람학의 정수이다. 꾸란의 의미를 찾고 그 의도를 설명하는 것이 ‘꾸란 해석’인데, 이 책은 꾸란 해석을 위한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부록에는 저자의 아랍어 전공과 꾸란 연구 및 이슬람 연구 역량을 집합하여 전문 용어를 해설한 내용을 수록했다. 이 책은 꾸란 해석이 이뤄지는 가능성에 따라 아랍인이 아랍어에서 이해하는 해석, 자신의 무지라고 핑계 댈 수 없는 해석, 학자들만이 아는 해석, 알라만이 아는 해석을 소개했고, 꾸란 해석이 내려오는 전례에 따라 꾸란 자체에서, 순나에서, 싸하바의 말이나 타비인의 말에서, 언어나 이즈티하드를 통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또한, 낱말의 의미를 설명하는 측면에서 분석적 해석과 종합적 해석을 다루고, 꾸란의 주제에 따라 일반적 해석과 주제적 해석 그리고 꾸란 해석의 도달 방식에 따라 전수에 의한 해석, 견해(이성)에 의한 해석, 암시적 해석을 논했다. 이 책은 꾸란 해석의 기원과 발달, 현대적 트렌드는 물론, 꾸란의 새로운 읽기(이해)와 꾸란에 대한 “타즈디드”(옛 기초를 그대로 보존하되 의미를 확대하여 꾸란의 의미를 더 잘 적용하는 것)해석을 다뤘다. 꾸란의 의미를 아랍어가 아닌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꾸란의 의미 번역’이라고 하는데 이 책은 꾸란 해석에 대한 전문 연구서로서 기존의 꾸란 의미 번역이나 독자의 꾸란 번역이 얼마나 정확한지 가늠할 수 있는 잣대 역할을 해 줄 것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