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번역
국내저자 > 교재

이름:신성만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최근작
2024년 1월 <사이버 심리>

신성만

현재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상담심리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고, 동 대학교 상담대학원장 및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이며, 한국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중독심리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 보스턴대학교에서 재활상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심리치료 전문가로 일했으며, 특히 하버드 의과대학 정신과 병원에서 교수요원으로 일했다. 실존치료, 동기와 정서, 중독상담, 정신재활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실존적 인간중심 치료> - 2017년 9월  더보기

역할은 지금까지도 광범위하게 이어져 오고 있다. 우선 제임스 부겐탈(James Bugental)은 메이의 제자 중 가장 인간중심적 접근을 강조한 사람으로서 실존적 인간중심 접근법을 많은 저술과 강연을 통해 소개 해 오고 있다. 두 번째 인물은 현재 실존치료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어빈 얄롬(Irvin Yalom)인데 역설적이게도 제자들 중 실존주의 성향을 가장 적게 띄고 있으며 심리치료과정에 실존적 과제들을 다루는 정도로 접근하고 있다. 세 번째 인물이 바로 이 책의 저자 중 한 사람인 커크 슈나이더(Kirk Schneider)인데 사실 현재 실존적 인간중심 치료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샌프란시스코에 설립한 실존적 인간중심치료 연구소는 미국 서부를 중심으로 이 접근의 확산에 중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유럽의 실존치료 학파들과 달리 실존적 인간중심치료는 유럽적 실존철학에 미국철학자들의 실용주의 정신을 포함시키고 칼 로저스(Carl Rogers)를 중심으로 하는 인간중심치료의 영향을 접목시켜 미국 중서부 지방 출신자들이 그 지역의 문화이기도 했던 강함, 용기, 불굴의 의지 등을 토대로 재창조해 낸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심리치료와 상담 영역에서의 활동이 이어져 갈수록 역자는 실존적 인간중심 접근이야 말로 심리치료사들이 추구해야 할 방향이 아닐까 하는 확신이 깊어가고 있었는데 이는 Counselbot 이나 Chatbot 등의 인공지능로봇에 의한 상담이나 심리치료가 생겨나는 오늘날의 현실에서는 더욱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실존적 경험적 인간중심적 측면이야 말로 인공지능이 엄두를 낼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이 분야의 중요 저서들을 번역하여 국내에 소개하고자 하였고 가장 대표적 인물인 커크 슈나이더의 책을 여러 권 살펴보며 욕심을 내었으나 번번이 좌절하고 말았었다. 그 이유를 몇 년 전 커크 슈나이더를 만나보고서야 이해하게 되었는데 그 때의 경험을 회상해 보면 그에게서 역자는 무척 내향적이고 수줍음이 많고 따뜻하며 상대방을 배려하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그의 성격답게 그의 글도 깊이 있는 내면적 사유로 가득 차 있고 글쓰기 또한 직설적이기 보다는 묘사적이며 독자의 사유와 이해의 범위를 최대한 확장시켜주고 존중해 주는 식으로 썼던 것이다. 그래서 만연체적인 느낌이 많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고 풀어서 번역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책 실존적 인간중심 치료를 번역하기로 용기를 내게 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저자인 슈나이더가 이 접근의 입문서로 가장 적절하다고 추천한 점도 한 가지 이유이지만 두 번째 저자인 오라 크러그(Orah Krug) 여사의 영향이었는지 책의 전반적인 내용이 비교적 간명하고 읽기 쉽게 쓰여 있었다는 이유도 크다. 또한 열정 가득한 황인식 박사의 역량에 힘입을 수 있었던 부분도 이 책이 번역되어 나올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이다. 책을 번역해 내고 보니 계속 다른 표현들이 없을까? 좀 더 쉬운 설명은 없을까? 하는 마음이 크지만 실존적 인간중심적 관점을 이 역자의 불안에도 적용해 보며 용기를 내어 세상에 내 보내고자 한다. 이 책이 지닌 본래적 가치에 의해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지대한 도움을 제공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 마음이다. 책이 나올 수 있도록 도움과 배려를 아끼지 않으신 유원북스 이구만 대표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또한 함께 원고를 읽고 조언을 아끼지 않은 한동대학교 상담센터의 박영규 연구원, 연세대학교 상담코칭 박사과정의 신정미 선생님께도 고마움을 전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