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에세이
국내저자 >

이름:정세훈

성별:남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55년, 대한민국 충청남도 홍성

최근작
2023년 5월 <꿈속의 꿈>

정세훈

1955년 충남 홍성 출생. 17세 때부터 20여 년간 소규모 공장을 전전하며 노동자 생활을 하던 중 1989년 『노동해방문학』과 1990년 『창작과비평』에 작품을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다.
시집 『손 하나로 아름다운 당신』 『맑은 하늘을 보면』 『저 별을 버리지 말아야지』 『끝내 술잔을 비우지 못하였습니다』 『그 옛날 별들이 생각났다』 『나는 죽어 저 하늘에 뿌려지지 말아라』 『부평4공단 여공』 『몸의 중심』 『동면』 『당신은 내 시가 되어』 등과 시화집 『우리가 이 세상 꽃이 되어도』, 동시집 『공단마을 아이들』 『살고 싶은 우리 집』, 장편동화 『세상 밖으로 나온 꼬마송사리 큰눈이』, 그림동화 『훈이와 아기제비들』, 산문집 『소나기를 머금은 풀꽃향기』 『파지에 시를 쓰다』 등을 펴냈다. 제32회 기독교문화대상, 제1회 충청남도 올해의 예술인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인천작가회의 자문위원, 위기청소년의좋은친구어게인 이사, 인천시 문화예술진흥위원회 위원, 노동문학관 관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공단 마을 아이들> - 2019년 3월  더보기

1960년대 후반부터 곳곳에 대규모 공단이 조성됐고 이에 따라 그 주변에 공단 마을이 급조성되었습니다. 땅 주인들은 그 흐름을 이용해 방 한 칸에 부엌 하나의 공간을 10여 세대씩 2층으로 벌집처럼 지어 올려 세를 놓았습니다. 한숨처럼 늘어선 초기 공단 마을 그 벌집에서 자란 어린이들이 이제 50대를 바라보는 중년 어른이 되었습니다. 4차 산업으로 이행되어 가는 이 시점까지 그들을 포함, 아직도 공단 마을에서 극빈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소수의 공단 마을 어린이들 정서를 담은 동시집이 한 권도 출간되지 않아 안타까웠습니다. 이러한 상황이어서 동시 전문 시인은 아니지만 공단 마을 아이들에 대한 동시집을 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우리 문학사는 물론 역사적 관점에서 반드시 내놓아야 한다는 의무감에서입니다. 우리 사회 소수의 공단 마을 극빈 어린이들을 다룬 것이기에 다수의 어린이들로부터 공감을 얻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하지만 문학은 반드시 다수의 공감만을 덕목으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공감은 체험에서 얻는 것이고 체험에는 직접 체험과 간접 체험이 있습니다. 공단 마을의 열악한 삶을 직접 체험하지 못한 다수의 어린이들이 이 동시집을 통해 충분히 간접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그리하여 아직도 열악하기 그지없는 환경에서 자라는 소수의 동무들 삶에 공감하고 더 나아가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시인의 말’ 중에서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