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안성봉

최근작
2024년 3월 <최신 항공 영어 해설>

안성봉

■ 경남 합천 출생
■ 대구대학교 불어불문학사, 재활과학 부전공
학부 재학 중 학점 교환 학생으로 미국 University of Iowa에서 여름학기 이수(1997)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이학석사 (2012)
■ 청소년문화진흥원 고전무예 부문 우수지도자 표창(2015)
■ 합천용주우체국 별정국장으로 재직 중

저서
이데오토피아(Ideotopia) - 海東(해동) (2016. 2) 편저
이데오토피아(Ideotopia) - 白香(백향) (2016. 12) 지음
이데오토피아(Ideotopia> - 本質(본질) (2020. 10) 지음
이데오토피아(Ideotopia) - 孫子兵法(손자병법) (2022. 5) 공저
문학아카데미(2022.11) 엮음

감수 - 항공영어해설(2022. 1. 지식공감)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이데오토피아 백향> - 2016년 12월  더보기

12년 만에 진검(眞劍)을 잡았다. 항상 좌대위에서 올려놓고 1년에 한번 씩 검날을 닦아주기만 하였는데 검과 인연이 다시 닿았는지 정말 오랜만에 대나무 베기를 하였다. 하지만 10년이 넘게 검을 잡지도 않고 기본자세 연습도 하지 않았는데 제대로 된 베기가 될 리 없다. 그래서 나의 동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영상과 사진을 찍었다. 그러든 중 만족스럽게 벤 대나무 조각을 보며 검시(劍詩, Sword poem)를 착안하게 된 것이다. 진검(眞劍)으로 대나무 베기는 고도의 정신 집중과 정확한 자세를 요한다. 짚단베기와는 달리 자세가 조금이라도 어긋나거나 잠시 엉뚱한 생각을 하면 검날이 대나무에 꽂히거나 대나무가 쪼개진다. 검시(劍詩, Sword poem) 또한 그러하다. 정확하게 칼로 벤 듯 혹은 자른 듯 한 깔끔한 문장 형식을 만들려면 고도의 정신집중과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여야 함은 물론 수많은 퇴고를 거쳐야 한다. 처음에는 불가능하며 무모하다고 생각하였지만 끊임없는 연구와 시도의 결과로 23편의 작품을 완성하는데 결국 성공하였으며 본서 <이데오토피아(Ideotopia)- 白香(백향)>출간하게 된 것이다. 전 세계의 학자들 마다 그리고 유명한 작가들마다 내리는 정의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가장 교과서인 의미의 시(詩)는 자연이나 삶에 대하여 일어나는 느낌이나 생각을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글이다(출처- 초등국어 개념사전, 2010.3.25., (주)북이십일 어울북). 시(詩)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비유법(<부록9> 참조)으로써 직유법은 자신과 타인의 모습과 행동 및 마음을 자연과 동식물 등의 다른 대상물로 비유하여 감성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은유법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감정을 자연과 동식물 등의 대상물로 형상화 하여 감성으로 표현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은인법과 활유법은 자신의 모습과 위안 받고 싶은 마음과 자신의 의지 그리고 갈망하는 것을 다른 대상(代償)으로 대신하여 감성적으로 표현 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래서 본 저자는 시(詩)란 ‘언어로써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감성으로 표현하여 예술적 미(美)로 승화시키는 영적(靈的)예술이며 운율을 문자로써 일정하고 규칙적인 문장형식으로 시각적 미를 추구하는 하나의 언어예술’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성을 감성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체적인 시니피앙을 다양한 추상적 시니피에로 나타낸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시(詩)는 다양한 소재와 주제 및 형식, 그리고 수많은 작가의 사상과 감정이 담긴 여러 문학적 이데올로기가 공존과 대립 및 충돌과 화해를 하는 하나의 거대한 이데오토피아(Ideotopia)이다(<부록11> 참조). 또한 시(詩)는 국가와 시대를 초월하여 낭만을 추구하는 정태적(靜態的) 이데오토피아(Ideotopia)인 동시에 각 국가와 사회 및 세대에 따라 다양한 형식의 문장을 추구하는 동태적(動態的) 이데오토피아(Ideotopia)이다(<부록11> 참조). 검시(劍詩, Sword poem)는 정형시의 한 부류이다. 그러므로 검시(劍詩, Sword poem)는 일반적인 시의 요소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고 질서적이고 일정한 규칙의 문장형식으로 시각적 미(美 )또한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그 어느 누구도 정의하지 않았으며 시도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본 저자가 최초이다. 문학계에서는 어떻게 정의를 그리고 평가를 할지는 모르겠지만 본 저자는 '검시(劍詩, Sword poem)란 정형시의 한 부류로써 정확하게 칼로 벤 듯 혹은 자른 듯한 일정하고 규칙적인 문장 형식을 갖춘 시'로 정의한다. 형식은 검법(劍法)의 기본자세와 동일하며 기본형식의 정면내려베기, 좌베기, 우베기와 복합형식의 좌우베기, 우좌베기, 종합의 총 6가지의 기본 형식과 복합형식이 있다. 본서 백향(白香)의 주제는 ‘당신의 향기’, ‘고운님’, ‘안개 속’, ‘소망, 믿음, 사랑’, ‘그리움’, ‘마음의 향기’ 등의 총 6가지이다. 그러므로 백향(白香)은 6가지의 이데올로기가 공존하는 하나의 이데오토피아(Ideotopia)이다. 또한 본서 <이데오토피아(Ideotopia)- 白香(백향)>에서 가장 많이 쓰인 비유법은 직유법과 은유법이다. 본 저자의 학부전공은 불어불문학이다. 그래서 우리 한국의 시보다는 프랑스 시를 더 깊이 있게 공부를 하였다. 그래서 본 저자에게는 김소월의 ‘진달래’ 보다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악의 꽃(Les Fleurs du mal)’이 더 익숙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서에 수록된 시가 많은 이들에게 다소 이국적일 수 도 있음을 미리 밝힌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