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번역

이름:김승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56년,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

직업:전문번역가

기타:성균관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뉴욕시립대 대학원에서 여성학을 전공했다.

최근작
2024년 6월 <우리 패거리>

김승욱

성균관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시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여성학을 공부했다. 〈동아일보〉 문화부 기자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킹덤》 《고양이에 대하여》 《푸줏간 소년》 《네타냐후》 《카탈로니아 찬가》 《들끓는 꿈의 바다》 《스토너》 《19호실로 가다》 《동물농장》 《듄》 등 다수의 작품을 우리말로 옮겼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물리의 언어로 세상을 읽다> - 2011년 6월  더보기

이 책은 이처럼 20세기 이후의 급격한 기술발전을 가능하게 한 두 이론의 기반을 마련한 것이 바로 맥스웰이라고 주장한다. 맥스웰이 수학이라는 언어를 무기로 삼아, 그때까지 금과옥조로 여겨지던 뉴턴 역학의 아성을 깨고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저자는 맥스웰의 업적을 설명하면서 수학도 하나의 언어라는 색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언뜻 보기에는 이게 뭔 소리인가 싶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맞는 말인 것 같다. 우선 모르는 사람이 보면 수학이란 난해한 기호의 나열에 불과하지만, 잘 아는 사람에게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멋진 도구가 된다는 점. 예를 들어, 영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영어가 난해한 기호의 집합으로만 보이지만 영어를 잘하는 사람에게는 영어 역시 자신의 뜻을 표현할 수 있는 언어일 뿐이니 수학과 같지 않은가. 둘째, 일단 수학이라는 언어를 터득하고 나면 맥스웰이 그랬듯이 완전히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을 개척할 수 있다는 점. 글자를 모르던 사람이 글자를 깨친 뒤의 변화를 상상해보면, 이것 역시 수학과 언어 사이의 공통점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