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유임하

최근작
2023년 6월 <재일코리안 스포츠 영웅 열전>

유임하

1962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한국체육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작가의 신화 : 한국소설과 이야기의 사회문화사』(역락, 2022),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 평화체제와 월북 작가 해금의 문화정치』(공저/역락, 2022), 『반공주의와 한국문학』(글누림, 2020), 『북한의 우리 문학사 인식』(공저/소명출판,2014) 등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재일코리안 스포츠 영웅의 초국적 스포츠 활동」(2023), 「전후 북한지식인의 동독 방문과 교류 경험 : 조령출의 ‘독일기행’」(2022), 「재난으로서의 전쟁과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 적치(敵治) 평양의 전시경험’과 『대동강』(한설야) 다시 읽기」(2021), 「재일조선인 스포츠커뮤니티의 탄생과 전개(1950-1965)」(2020), 「전후 재일조선인 스포츠커뮤니티의 기원과 형성(1945-1950)」(2019), 「북한의 문화정전을 어떻게 읽고 수용할 것인가」(2019) 등이 있다.
조은애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강사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디아스포라의 위도 : 남·북·일 냉전 구조와 월경하는 재일조선인 문학』(소명출판, 2021), 『마이너리티 아이콘 : 재일조선인 사건의 표상과 전유』(편저/역락, 2021) 등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일본인 처’라는 기호 : 남·북·일 국민 서사에서의 비/가시화와 이동의 현재성」(공저, 2022), 「찢어진 이름 : ‘김희로 사건’을 둘러싼 명명의 정치와 ‘65년 체제’에서의 재일조선인」(2021), 「북한에서의 재일조선인 문학 출판과 개작에 관한 연구 : 김달수와 이은직의 경우를 중심으로」(2019) 등이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북한소설선> - 2013년 3월  더보기

최근 북한문학을 외국문학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중요한 것은 그런 주장의 타당성보다는 우리 근대문학을 바라보는 거시적인 시각과 조망이라고 생각한다. 북한문학은 우리 근대문학의 큰 흐름 속에 있는 한 지류에 해당한다. 이번에 간행되는 이 북한소설선집은 중단편을 중심으로 해서 북한소설의 특성을 조금이나마 맛볼 수 있게 하였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북한소설선집은 대부분이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에 나온 것이어서 늘 아쉬움을 주었다. 그러던 차에 북한문학의 이해를 돕는 데 필요한 작품을 읽어온 인연으로 작품의 윤곽을 잡고, 의미 있다고 판단되는 작품들을 선별하는 기회를 얻었다. 일반인들이 북한문학에 대한 제한된 편모나마 접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이 책을 꾸미게 되었다. 모쪼록 북한문학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